공통과목
코드번호 | 이수구분 | 교과목명 | 학점 | 수강대상 |
---|---|---|---|---|
G01210 | 공통 | 언어이론연구 (Studies in Linguistic Theory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217 | 공통 | 국어학연구방법론 (Methodology in Korean Linguistics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135 | 공통 | 고전문학사연구 (Studies in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136 | 공통 | 고전문학연구방법론 (Methodolog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205 | 공통 | 현대문학사연구 Ⅰ (Studies in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Ⅰ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257 | 공통 | 현대문학연구 Ⅰ (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Ⅰ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204 | 공통 | 한국어사연구 (Studies in History of Korean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01258 | 공통 | 현대문학연구 Ⅱ (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Ⅱ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G90378-1 | 공통 | 한국문학과문화 (Korean Literature and Culture) |
3-3-0 | 석·박사공용 |

교과목 해설
- 언어이론연구 (Studies in Linguistic Theory)
- 구조주의이론, 생성이론 등 일반 언어학 이론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연구한다.
- 국어학연구방법론 (Methodology in Korean Linguistics)
- 국어학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분야별로 대표적인 논문을 선별하여 강독하고, 연구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국어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.
- 고전문학사연구 (Studies in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)
- 한국 고전문학의 형성 및 전개 과정을 개관하고, 장르별 문학 작품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를 탐구한다.
- 고전문학연구방법론 (Methodolog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)
- 기존의 일반적인 문학연구방법론들을 한국 고전문학에 다양하게 적용해 봄으로써 바람직하고 독자적인 고전문학 연구방법론의 개발을 시도한다.
- 현대문학사연구 Ⅰ(Studies in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Ⅰ)
- 한국 현대문학의 형성과 그 전개 양상을 사적으로 개괄하고, 이를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과 방법들을 연구 검토한다.
- 현대문학연구 Ⅰ(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Ⅰ)
- 해방 전까지의 문학을 대상으로하여, 학계에서 빈번히 논의되는 문제, …특정 시기나 방법, 주제, 경향 등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.
- 한국어사연구 (Studies in History of Korean)
- 국어 음운, 형태, 통사 이론을 역사적으로 분석․고찰함으로써 국어학 이론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.
- 현대문학연구 Ⅱ(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Ⅱ)
- 해방 이후의 문학을 대상으로하여, 학계에서 빈번히 논의되는 문제, 특정 시기나 방법, 주제, 경향 등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.
- 한국문학과문화 (Korean Literature and Culture)
- 문화의 차이가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에 대하여 이해한다. 아울러 한국문학작품을 활용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한다.